분류 전체보기 100

리눅스 네트워크 연결 및 방화벽 확인

기본 - telnet ip port - ping ip ----------------------------------------------------------------------- 연결안되면 방화벽 확인 Active : inactive 방화벽이 사용안함. ------------------------------------------------------------------------- 방화벽 시작 [root@TEST02~]# systemctl start firewalld 방화벽 포트 추가 [root@ TEST02 ~]#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70001/tcp 방화벽 포트 차단 [root@ TEST02 ~]# firewall-cmd --zone=public ..

DB 관리 TIP 2024.01.23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

- 관계 타입 주식별자를 하위 엔턴티에 어떻게 상속하느냐에 따라 식별 관계 /비식별 관계로 구분 · 식별관계 : 상위 엔터티의 주식별자를 하위 엔터티로 상속할 때, 주식별자에 포함시키는 것 식별관계 특징 : 업무요건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관리한다는 것. 종속관계를 제대로 표현한다는 것. 관계 타입은 업무 요건과 무관 팀이 리그에 반드시 속해야 한다는 요건때문에 모델과 같이 식별관계로 설계했지만, 비식별 관계로 설계할 수도 있음 식별관계 팀엔터티에서 리그번호 속성이 주식별자에 속하기 때문에 널이면 안되므로 데이터는 관리될수 밖에 없음 비식별관계는 관계 속성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주식별자로 관리하는 것보다 제약이 약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식별관계는 주식별자를 인덱스로 사용할 ..

참조 무결성

참조무결성이 존재할때만 관계선을 표현해야 한다. 참조한다는 것은 -관계선으로 연결된것을 의미 -하위엔터티의 외래식별자 속성에 존재하는 값이 상위 엔터티의 주식별자 값과 일치하거나 널이라는 의미 -참조 무결성 제약이 존재하면 하위엔터티에 데이터를 인서트 할때 상위 엔터티에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입력할 수 없다. -상위 엔터티의 주식별자값을 삭제할때는 하위 엔터티에 사용된값을 먼저 모두 삭제해야 상위 값을 삭제할 수 있다. 참조무결성은 논리적인 개념이다. 이를 모델에 표현한 것이 관계선이며, DBMS에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이 참조 무결성 제약이다. 참조무결성 제약은 논리적인 관계선을 물리적으로 연결한 것으로 DBMS 데이터 딕셔너리에 데이터로서 존재한다. 관계를 논할때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관계는 삭제해도 ..

관계 이야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핵심원리는 데이터를 중복하지 않고 한 군데에서만 관리( Normalization)하고, 필요할 때 연결(join)해서 보는 것이다. 데이터가 필요할 때 조인하면 되기 때문에 릴레이션을 분해할 수 있을때까지 분해한다. 릴레이션 분해 후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해 관계가 필요한 것이다. 관계 주요 단어 : 관계 속성과 참조 무결성 ※ 참조무결성제약 : 하위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상위에 존재해야 한다. 이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 관계는 물리적으로 관계 속성과 참조 무결성 제약 이 두가지를 생성한다. 관계 속성은 엔터티에 생성되고, 참조무결성제약은 DB에 생성된다. 관계에서 참조무결성은 조인과 연관된다. 관계의 다른표현 참조무결성은 RDB핵심이다. RDB에서의 관계는 논리적인 연관성이 있어야 하고..

속성 식별자 검증

속성은 메타시스템과 연관되어 있어 검증할 수 있다. - 속성 존재 여부 검증 모델에 표현되지 않은 속성이 있는지? 모델에 표현된 불필요한 속성이 있는지?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사용한 항목과 모델 속성과의 매트릭스를 만들어 비교하는 것이 있으며, as-is속성과 모델 속성과의 매트릭스를 만들어 비교하는 것이 있다. 화면에는 있는데 속서이 없는 경우 속성만 존재하고 화면에 없는 경우 속성에도 없고 화면에도 없는 경우 (누락여부 발견하기 힘든경우인데. as-is 속성과 비교해서 보안필요) AS-IS속성이 TO-BE모델에 없는 경우: 삭제된 것이 있는지 검토 필요. 삭제된것이 아니라면 TO-BE 모델 추가필요 TO-BE에 있는 속성이 AS-IS모델에 없는 경우 : 신규업무로 인해 추가된 경우, 신규추가가 아니라..

널(Null)에 대하여

널은 속성의 값을 알수 없을때 사용하는 데이터 값이다.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값을 알 수 없을때 널을 사용한다. 널을 허용한 속성은 선택속성이다. 모른다는 의미에서 사용된 널값이지만, 언제가 알게될수도 있는것이다. 속성을 정확하게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모르는 것'과 '해당사항이 없는것' 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해당사항이 없는것'으로 널을 저장하는 속성은 해당엔터티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중에라도 값이 채워질수 없는 속성이라면 엔터티에서 제외해 1:1 관계로 분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속성이 코드값을 사용할때는 적용할 수 없는 값과 알수 없는 값을 구분해 코드값 의미를 명확하게 설계해야 한다. '적용할 수 없음'이나 '해당사항없음'을 의미하는 코드값을 추가해서 사용해야 한다. #주..

데이터 타입 선정 원칙과 절차

올바른 데이터 타입을 선택하는 것은 모델링 과정 중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적절치 않은 데이터 타입을 선택하면 데이터의 무결성 손상이 될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성능이 저하될수 있다. 데이터의 성격에 맞는 데이터 타입을 정해야 무결성이 보존돼품질이 높아진다. 데이터 타입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은 속성에 저장될 데이터의 성격에 맞는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속성에 저장될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 인지를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데이터 성격을 모르고는 데이터 타입을 결정할 수 없다. 데이터의 성격을 명확하게 팍악하고 규정하는 것은 모델러의 중요한 역활이다. 속성데이터가 날짜면 Date 타입, 숫자명 Number타입을 문자면 Varchar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도메인

일반적인 정의 : 도메인은 속성에 허용된 유효한 값의 집합이다.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이 집합이 도메인이다. 데이터모델링에서 사용되는 두가지 정의 -도메인은 데이터 타입과 길이를 의미(물리도메인을 실무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속성을 대표속성을 의미(논리적개념) 물리도메인 물리도메인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데이터 타입과 길이, 허용값의 범위와 기본값, 값의 포멧등을 포함한다. ex)일자 도메인 이름 : 일자 도메인의 데이터 타입 : date 도메인의 데이터 포맷 : yyyy-mm-dd 허용범위 : 1900년 1월 1일부터 9999년12월31일까지의 날짜 기본값: 9999년12월31일 물리 도메인을 구분할때는 일반적으로 데이터타입과 길이를 기준으로 한다. 데이터 타입과 길이가 주요기준이 되므로 타입과 길이..

속성명

속성명을 정하는 원칙 -속성의 셩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속성명을 정하는 것은 모델러가 해야 할 가장 커다란 역활 -속성의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속성명을 명명하는 가장 중요한 원칙 -속성명을 명확하게 표현하려면 구체적으로 명명 ex) 전화번호 -> 자택전화번호 -속성명이 구체적이지 않거나 여러의미로 사용될수 있을때 속성이 잘 못 쓰일 가능성이 존재 -구체적인 것도 좋지만 지나치게 길면 좋지 않다. 의미가 파악되는 한에서 가능한 짧아야 한다 -영문명은 가능한 짧은 것이 좋기때문에 단어에 대응하는 영문단축명은 짧게 정하는 것이 좋다. 영문단축명을 보고 단어의 의미를 알게 하려고 길게 정하는데 이는 컬럼명이 길어지는 대신 효과는 크지 않아 의미가 별로 없다. -속성명은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