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

[계층형 질의]

-계층형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계층형 질의를 사용 계층형 데이터란 동일 테이블에 계층적으로 상위와 하위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말함 1. ORACLE 계층형 질의 - START WITH 절 : 계층구조 전개의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구문(즉 루트데이터를 지정함) - CONNECT BY 절 : 다음에 전개될 자식 데이터를 지정하는 구문 - PRIOR 절 : CONNECT BY절에 사용되며, 현재 읽은 칼럼을 지정 PRIOR 자식=부모 (부모-->자식) 방향으로 전개 PRIOR 부모=자식 (자식-->부모) 방향으로 전개 - NOCYCLE : 데이터를 전개하면서 이전에 나타났던 데이터가 나타나면 사이클이 형성되었다라고 하며, 사이클이 발생한 데이터는 런타임 오류가 발생. 그렇지만 NOC..

SQL 2021.12.21

집합 연산자 (SET OPERATOR)

- 조인을 이용하지 않고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 - 여러개의 질의결과를 연결하여 하나로 결합하는 방식(2개이상의 질의 결과를 하나의 결과로 만들어줌) - SELECT 절의 칼럼 수가 동일하고 동일위치에 존재하는 칼럼의 데이터 타입이 상호 호환 가능 해야함 집합연산자 의미 UNION SQL 결과에 대한 합집합으로 결과에서 모든 중복된 행은 하나의 행으로 출력 UNION ALL SQL 결과에 대한 합집합으로 중복된 행도 그래도 결과 표시(단순히 결과만 모아놓음) 여러질의 결과 상호배타적일때 많이 사용 INTERSECT 여러 개의 SQL 문의 결과에 대한 교집합. 중복된 행은 하나의 행으로 만듬 EXCEPT 앞의 SQL문의 결과에서 뒤의 SQL문의 결과에 대한 차집합. 중복된행은 하나의 행으로 만듬

SQL 2021.12.20

OUTER JOIN

** T1 테이블이 T2테이블과 조인을 하되, T2의 조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T2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T2의 조인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T1의 모든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 OUTER JOIN 기준이 되는 테이블이 조인 수행시 무조건 드라이빙 테이블이 됨. LEFT/RIGHT/FULL OUTER JOIN & CROSS JOIN - LEFT OUTER JOIN : 조인 수행시 좌측에 있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은 후 우측 테이블에서 JOIN 대상 데이터를 읽어온다. 조인 시 같은 값이 있을때는 해당 값을 가져오고, 같은 값이 없을 경우 우측테이블 데이터를 NULL로 채운다. - RIGHT OUTER JOIN : 조인 수행시 우측에 있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은 후 좌측 테이블에서 JOIN 대상..

SQL 2021.12.19

INNER & NATURAL JOIN

1. INNER JOIN - 조인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있는 행만 반환 2. NATURAL JOIN - NATURAL JOIN은 두 테이블 간의 동일한 이름을 갖는 모든 칼럼들에 대해 equi(=)JOIN을 수행 - JOIN이 되는 테이블의 데이터 성격과 칼럼명등이 동일해야 하는 제약 조건이 있음 NATURAL JOIN이 명시되면, 추가로 USING, ON, WHERE 절에서 JOIN 조건을 정의할수 없음 (SQL SERVER 지원안함) JOIN 컬럼을 별도 지정하지 않았지만, 두 테이블의 DEPTNO라는 공통된 칼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JOIN을 처리한 것 JOIN에 사용된 칼럼들은 같은 데이터 유형이어야 하며, ALIAS나 테이블명과 같은 접두사를 붙일수 없음 모든칼럼 조회 시(*) 칼럼 순서 지정하지..

SQL 2021.12.18

일반 집합 연산자 & 순수 관계 연산자

## 일반 집합 연산자 1. UNION & UNION ALL - UNION 수학적 합집합 , 공통 데이터를 제거 하기위한 사전 작업으로 시스템에 부하를 주는 정렬 작업 발생 - UNION ALL 합집합은 같으나 공통 데이터를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정렬작업은 일어나지 않음 시스템 부하 적음 ** UNION/UNION ALL 결과가 같다면, 응답 속도 향상이나 자원 효율화 측면에서 정렬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UNION ALL 사용 권장 2. INTERSECTION - 수학의 교집합 두 집 합의 공통집합을 추출 3. DIFFERENCE - 수학적 차집합 첫번째 집합- 두번째 집합 공통부분 제외한 부분 - 대다수 EXCEPT/ ORACLE은 MINUS를 사용 4. PRODUCT - CROSS PRODUCT라고 ..

SQL 2021.12.18

결합인덱스 선택도

1. 선택도(Selectivity) : 전체 레코드 중에서 조건절에 의해 선택되는 레코드 비율 카디널리티 = 선택도 * 총레코드 수 인덱스 선택도란 ? 인덱스 컬럼을 모두 '='로 조회할때 평균적으로 선택되는 비율을 의미 선택도가 높은(카디널리티가 높은) 인덱스는 생성해봐야 테이블 액세스만 많이 발생함 (만든의미가 없음) 인덱스를 생성할때는 반드시~ 선택도 카디널리티 확인!! * 카디널리티 = 1 : 해당컬럼 '=' 조건으로 조회 시 평균 1건 조회됨을 의미 --카드널리티 조회 쿼리 SELECT COUNT(*) AS NDV, MAX(CNT) AS MAX_CARD, MIN(CNT) MN_CARD, AVG(CNT) AS AVG_CARD FROM ( SELECT ORD_DT, SHOP_NO, COUNT(*) ..

DB 관리 TIP 2021.12.16

[미성년자 증여세 신고]

미성년자 증여세 신고 1. 홈텍스 가입 - 아이기준으로 가입(부모 휴대폰번호만으로 가입가능함) 주민등록상 법적인 보호자여야 가입가능 2. 미성년자 증여세 신고 화면에서 주민등록번호 조회는 꼭 눌러야 정보가 조회되고, 증여자 관계 "자" 미성년자 부분 꼭 선택 3. 아이에게 2천만원까지 증여해야 비과세라 딱 그금액만 증여 증여재산의 구분 : 증여재산 -일반 증여재산의 종류 : 현금 평가금액방법 : 현금 등 시가 4. 세금계산 입력 부분. 증여제산 공제 부분 직게존비속에 증여금액 꼭 입력해야 세금 안냄 5. 그리고 신고하고, 아이기준 기본증명서, 가족증명서, 증여금액 거래내역 또는 이체내역등 신고하고 부속첨부하면 완료~~

[ORACLE] ROWID 특징

오라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ROWID - ROWID : 데이터의 위치 값 - ROWID는 인덱스에 저장되어 있음(인덱스에서 원하는 값을 찾은 후 ROWID를 통해 테이블에 접근) - ROWID를 알고 있으면 인덱스를 통하지 않고도 바로 테이블로 접근가능 - ROWID 순으로 정렬하면 같은 블록끼리 모여 있어 버퍼피닝효과를 만들어 낼수 있음 ROWID 구성 데이터오브젝트(6자리)+데이터파일번호(3자리)+블록번호(6자리)+로우번호(3자리)

DB 관리 TIP 2021.07.0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