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데이터모데링노트 요약

중첩 서브타입

mitomi 2023. 11. 6. 22:42
반응형
SMALL

서브타입 안에 다시 서브타입에 존재할때 중첩서브타입이라고 한다.

중첩 서브타입은 기초속성은 유사하지만, 고유속성이 존재하는 다수의 엔터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중첩서브타입 논리모델 & 물리모델

위 모델에서 고객의 정의를 사원과 거래처까지 확대했다. 

다양한고객이 존재해서 주민번호 존재하는 자연인과 법인번호가 있는 법인으로 서브타입 설계

자연인을 개인고객과 사원으로 설계 법인은 법인고객과 거래처로 설계

중첩 서브타입은 하나 이상의 서브타입 구분자가 필요하고, 구분자 사이에 계층 체계가 존재

고객유형코드 구분자는 자연인구분코드, 법인구분코드값을 종속

자연인 구분 코드는 자연일일때만, 법인구분은 법인일때만 생성됨

 

중첩서브타입 그래도 물리모델을 생성하진 않음 

데이터 성격 자체를 나타내는 서브타입 구분자와 달리 엔터티는 계층을 그대로 구현하지 않음

계층 서브타입은 주로 첫번째나 마지막 서브타입을 기준으로 물리모델을 생성한다.

계층서브타입을 모두 물리모델로 생성하면 엔터티 관계가 복잡해질 뿐 좋은점이 없기에 통합원칙이 반영된 모델이 원칙!!

 

중첩서브타입이 존재하다는 것은 많으 데이터을 통합했다는 것을 의미

데이터 통합된것이 중요할 뿐 계층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물리 모델에서 중첩서브타입을 구현할 때는 신중히 검토필요

일반서브타입과 달리 모든 서브타입을 물리적으로 생성할 필요는 없음

728x90